서울 충현교회 설립자인 김창인 목사는 별세 넉 달 전인 2012년 6월 자신의 아들에게 충현교회를 세습한 일이 일생일대 최대의 실수라며 하나님 앞에 회개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교회 세습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파장을 불러왔고 일부 교단이 세습방지법을 제정하는 계기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후에도 교회 세습은 지속됐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더콕에서 다양한 변칙 세습을 유형별로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2013년 이후 만들어진 초기 세습방지법은 부자 간 직계 세습을 막는 목적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자 할아버지에서 손자로 교회를 넘기는 '징검다리 세습'이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2015년, 세습방지법을 보완한 '징검다리 세습 방지법'도 제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규모가 비슷한 교회끼리 아들 목사를 바꾸는 교차 세습 방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 2014년 충북 제천에 있는 동산교회와 충남 홍성에 있는 중부교회의 담임 목사들이 상대 교회의 아들을 담임목사로 받아들였습니다. <br /> <br />회사로 치면 자회사에 해당하는 지교회를 세우는 방식은 교회 변칙세습의 대표적인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세습방지법이 생기기 전부터 부자 직계 세습에 대한 신도들의 반발을 피하기 위해 상당수 대형 교회가 이 방식을 동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2003년 왕성교회는 과천 왕성교회를, 소망교회는 분당 소망교회를 세워 변칙 세습논란을 일으켰습니다. <br /> <br />2015년에도 인천 대은교회가 검단 대은교회를 설립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교회 설립 방식은 이후 합병을 통해 세습을 완성합니다. <br /> <br />지교회와 아버지 교회를 합쳐 아들 목사가 이끌어 가게 됩니다. <br /> <br />앞서 말씀드린 왕성교회와 과천 왕성교회가 합병하는 데는 9년이 걸렸지만 인천 신동산 교회는 지교회와 합쳐 세계비전교회로 출범하는 데 불과 8개월이 소요됐습니다. <br /> <br />명성교회 역시 지난 5년 동안 새노래 명성교회라는 지교회를 설립하고 다시 합병하는 과정에서 세습논란의 중심에 서 왔습니다. <br /> <br />두 번의 교단 재판에서 판결이 엇갈리고 총회에서 사실상 면죄부가 주어진 데서 알 수 있듯이 내부에서는 세습을 현실로 인정하자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사회 전반의 여론은 세습에 매우 부정적이며 종교의 자유 뒤에 숨어 교회를 사유화 한다는 인식이 일반적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92714023124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